[뉴스초점] 중국산 요소 1만8천여t 반입…중장기 해법은?<br /><br /><br />요소수 품귀 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한국 기업들과 이미 계약한 요소 1만8천700톤에 대한 수출 절차를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2~3달 치 물량이어서 중장기적 대책이 나오지 않고 있는 만큼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물류대란을 넘어 민생대란으로 이어질 우려도 계속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와 요소수 대란 상황과 중장기 해결책, 함께 짚어봅니다.<br /><br />안녕하십니까.<br /><br /> 중국의 수출제한 조치로 이미 계약을 하고도 국내에 들여오지 못하고 있던 요소 1만8천700톤에 대한 수출 절차가 진행된다고 오늘 외교부가 밝혔습니다. 여러 대책들 가운데 최우선 과제가 일단은 해결된 셈이죠?<br /><br /> 여기에 더해 호주에서 요소수 2만 7천 리터를 실어 오기 위해 군 당국이 이르면 오늘 수송기를 띄울 계획이라고 하는데요. 베트남에서도 다음 주중 요소 200톤을 들여오기로 했고, 멕시코업체에서도 연내 1천200톤의 요소수를 공급받기로 약속했습니다. 이 물량까지 합치면 얼마나 더 시간을 벌 수 있는 건가요?<br /><br /> 뿐만 아니라 베트남을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요소 1만 톤을 추가로 수입하는 방안도 협의 중인데요. 그런데 이렇게 여기저기서 물량을 공수해오면 품질도 조금씩 차이가 나지 않을까 궁금한데, 적합한지 확인하는 절차에서 변수는 없을까요?<br /><br />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이 아니라, 이렇게 조금씩 시간을 버는 식으로 이어가는 것도 한계가 있을 것 같은데요. 당장 화물차뿐만 아니라 대중교통 운행까지 연쇄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특히나 이동량이 많은 연말이 다가오고 있는 만큼 타격이 더욱 클 것 같은데요?<br /><br /> 시외, 시내버스도 그렇지만 마을버스의 경우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고 하는데요. 소규모 업체일수록 더욱 물량이 없기도 하고, 서울시 마을버스 3분의 1이 요소수 필요 차량이라고 합니다. 만약 교통 대란이 현실화될 경우 시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닐 것 같아요?<br /><br /> 이 가운데 요소수 불법 유통 단속을 벌이고 있는 합동단속반이 민간 수입업체가 보유하고 있던 요소 3천 톤을 찾아내서, 이 중 차량용 2천 톤을 요소수로 전환하기로 했는데요. 근본적인 해결책은 될 수 없겠지만 단기적이라도 보탬이 될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대책 중 하나인 산업용 요소수의 차량용 전환 여부는 이번 주 안에 결론이 나올 예정인데요. 그런데 엄밀히 말하면 차량용과 산업용은 다르기도 하고, 환경부에서 진행 중인 실험도 촉박하게 이뤄지고 있지 않습니까? 긴급사태라고는 해도 전환 결정을 내려도 문제가 없을까요?<br /><br /> 이번 사태를 두고 '에너지 안보'에 구멍이 뚫렸다는 말도 나옵니다. 요소수 문제를 넘어서 원재료 공급을 특정 국가에 과도하게 의존하면 얼마나 큰 파장을 불러오는지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. 전반적으로 공급망 구조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